김수현 (작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현은 1968년 라디오 드라마 공모전 입상을 시작으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72년 첫 드라마 《무지개》를 시작으로, 《사랑이 뭐길래》, 《청춘의 덫》 등 다수의 인기 드라마를 집필했다. 한국 가족의 현실을 섬세하게 다루며,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가치관의 충돌, 여성의 사회적 역할 등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1971년 청룡영화상 각본상을 시작으로, 한국방송대상, 백상예술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2012년에는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여자중학교 동문 - 강유림
강유림은 2020년 WKBL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프로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로, WKBL 신인선수상을 수상하고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로 트레이드되어 활약하며 평균 7점대의 득점을 기록했다. - 청주여자중학교 동문 - 조안 (배우)
조안은 1999년 MBC 드라마 《안녕 내 사랑》으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제17회 이천 춘사대상영화제 신인 여우상과 제4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주성초등학교 동문 - 김진구 (1896년)
김진구는 1896년 충청북도 괴산군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으며, 야담가로 활동하며 문화운동을 펼치다 내선일체론을 주장하며 친일 행적을 보였다. - 주성초등학교 동문 - 신경식
신경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3대, 14대, 15대, 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청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조성욱 (1964년)
조성욱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고려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를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제23대 공정거래위원장을 역임하며 재벌 개혁과 공정 경제 실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 청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강유림
강유림은 2020년 WKBL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프로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로, WKBL 신인선수상을 수상하고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로 트레이드되어 활약하며 평균 7점대의 득점을 기록했다.
김수현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김순옥 |
출생일 | 1943년 1월 27일 |
출생지 | 충청북도 청주시 |
직업 | 극본가, 소설가 |
학력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활동 기간 | 1968년 - 현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이름 | |
한글 | 김수현 |
로마자 표기 | Gim Su-hyeon |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im Suhyŏn |
출생 시 한글 이름 | 김순옥 |
출생 시 로마자 표기 | Gim Sun-ok |
출생 시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im Sunok |
수상 | |
1971년 | 청룡영화상 각본상 |
1973년 | 한국방송대상 각본상 |
1975년 | 한국방송대상 최우수 작품상 |
1980년 | 백상예술대상 TV 극본상 |
1981년 | 백상예술대상 TV 극본상 |
2001년 | 백상예술대상 TV 극본상 |
2. 경력
김수현은 1965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8년 MBC 라디오 드라마 《저 눈밭에 사슴이》로 데뷔했으며,[43] 1972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무지개》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로 데뷔했다.
1971년 제8회 청룡영화상 각본상(《필녀》), 1973년 제1회 한국방송대상 각본상(《새엄마》), 1975년 한국방송대상 최우수 작품상(《신부일기》)을 수상했다.[49] 1980년과 1981년에는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각본상을 수상했다.[45]
1987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45]
2. 1. 작가로서의 경력
1968년 MBC 라디오 드라마 《저 눈밭에 사슴이》로 데뷔,[43] 1972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무지개》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잠깐 TBC에서 활동한 것을 제외하면 줄곧 MBC에서 드라마를 집필하였으나, 1992년 월화 미니시리즈 《두 여자》의 실패 후 SBS 방송국 출범과 동시에 수억 원의 전속료를 받고 이적하여 주로 집필 활동을 하였다. 현재는 MBC를 제외하고 KBS, SBS, JTBC에서 작업하고 있다.1991년에는 MBC 주말연속극 《사랑이 뭐길래》와 SBS 소설극장 《여자 마흔다섯》 두 작품을 동시에 방영했다. 특히 《사랑이 뭐길래》는 서울 시내 수돗물 사용량이 줄어들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드라마에 삽입된 김국환의 노래 《타타타》가 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큰 화제를 모았다.[1]
1994년 SBS 드라마 《작별》에서는 연출가 교체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었다. 작가 김수현은 작품의 완성도를 이유로 연출가 교체를 요구했고, SBS는 이를 받아들여 곽영범 PD로 교체했다. 이에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는 작가의 월권행위를 비판하며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이 사건은 작가의 영향력이 연출자의 권한을 침해한 사례로 평가받았다. 《작별》은 50회로 기획되었으나, 작가와 SBS의 합의로 단축 종영되었다.
김수현은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시나리오 작가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사랑이 뭐길래》(1992년),[1] 《남자 셋 여자 셋》(1996년), 《청춘의 덫》(1999년) 등 한국 텔레비전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률을 기록한 프로그램들을 집필했다. 김환표 작가는 저서 《TV 드라마를 통해 본 한국》에서 김수현의 《사랑과 야망》(1987년) 방영 시간 무렵에는 "사실상 전국 모든 사람이" TV 앞에 앉아 있어서 거리가 조용해졌다고 묘사한다.[2] 김수현은 한국의 가족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전문으로 하며, 전통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의 충돌, 여성들의 문화적 억압에 대한 적응과 저항 등을 다룬다. 그녀의 작품은 주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며, 대중이 거의 논의하지 않는 사회 문제를 조명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일부 작품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1987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45]
2. 2. 작품의 특징
김수현은 가족과 애정이라는 대중적인 소재를 빠르고 거침없는 대사에 실어 경쾌하게 전달함으로써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고 평가받는다.[1] 거창한 주제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소재를 뽑아내어 그 속에 웃음과 재치를 섞어 섬세하고 감각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시청자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다는 평가를 받았다.[1]하지만, 김수현의 작품은 때때로 자극적인 표현과 비속어 사용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1992년작 MBC 사랑이 뭐길래에서는 등장인물의 험한 대사가, 1994년작 SBS 작별에서는 비속어 남발이 문제가 되었다.[1] 1996년작 KBS 목욕탕집 남자들에서도 등장인물의 폭력적인 행동과 대사가 문제가 되었다.[1] 방송가에서는 이러한 자극적인 표현들이 시청률을 의식한 작가의 의도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1]
김수현은 이른바 '김수현 사단'이라 불리는 배우들을 작품에 자주 기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윤여정, 이순재, 강부자, 나문희 등이 대표적인 김수현 사단 배우들이다.[1] 이에 대해 '그 얼굴이 그 얼굴'이라는 식상함과 지겨움을 느낀다는 비판도 있다.[1]
김수현은 불같은 성격과 솔직한 태도로도 알려져 있다. 그녀는 배우들의 연기에 엄격하게 관여하며, 애드리브를 금지하고 대본대로 연기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4]
김수현의 드라마는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지만, 일부 평론가들은 그녀의 최근 작품들이 과거 작품의 단순한 패러디에 불과하며, 과장된 대사와 지나치게 보수적인 한국 가족 묘사로 비판하기도 한다.[4][3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성실한 작업 방식은 업계에서 칭찬을 받고 있으며, 대본을 제때 제출하는 몇 안 되는 드라마 작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30]
2. 3. 사회적 영향력
김수현은 항상 '화제'와 '비판'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작가이다. 가족과 애정이라는 대중적 소재를 빠르고 거침없는 대사에 실어 경쾌하게 전달함으로써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고 평가받는다. 거창한 주제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소재를 뽑아내어 그 속에 웃음과 재치를 섞어 섬세하고 감각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시청자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다는 평가를 받았다.[1]1992년 MBC 《사랑이 뭐길래》에서는 대발이 아버지(이순재 역)의 험한 대사가, 1994년 SBS 《작별》에서는 유림(유호정 역)의 비속어 남발이, 1996년 KBS 《목욕탕집 남자들》에서는 외동딸(양희경 역)과 장인, 장모의 대사 등이 문제가 되었다. 방송가에서는 시청률을 의식해 작가가 자극적인 표현을 의도한다는 혐의가 짙다고 평한다.
김수현은 매번 작품을 할 때마다 억대 원고료를 경신했다. 이른바 '김수현 사단'이라 불리는, 매번 작품에 등장하는 배우들이 많이 겹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대해 '그 얼굴이 그 얼굴'이라 식상하고 지겹다는 비판도 있다.
김수현은 한국의 가족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전문으로 하며, 전통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의 충돌, 여성들이 가정과 직장에서 문화적 억압에 적응하거나 저항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2] 그녀의 작품은 주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며, 대중이 거의 논의하지 않는 사회 문제를 조명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일부 작품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2007년 《내 남자의 여자》는 남편(김상중)이 절친한 친구(김희애)와 불륜을 저지른 사실을 알게 된 아내(배종옥)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로, 김수현은 불륜이라는 도발적인 주제에도 불구하고 현실감을 불어넣었다. 김수현은 불륜녀에 대해 "두 여자 중 하나를 선택해서 승리라고 한다면, 그 드라마는 교훈적이고 진부해질 것이다. 두 여자는 내 마음의 50%씩 똑같이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며 인간적인 면모를 부여했다.[3][4]
2008년 《엄마가 뿔났다》는 세 아이와 남편, 시아버지까지 돌보며 수십 년을 주부로 살아온 중년 여성이 1년의 휴식을 갖고 가족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며 자신을 재발견하는 이야기를 그렸다.[8] 일부 시청자들은 이 캐릭터를 가족을 버린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인물이라고 비판했지만, 이 드라마는 기록적인 시청률을 기록했다.[9]
《인생은 아름다워》(2010)는 공개적으로 게이 커플을 다룬 최초의 지상파 드라마였다. 김수현은 동성애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솔직함으로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지만, "내 아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처럼" 이 문제에 접근했다고 말하며 주저하지 않고 집필했다. 김수현은 게이 커플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동성애를 더 이상 금기 주제로 만들지 않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말했다.[14]
《천일의 약속》(2011)에서 김수현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탐구했으며, 수애는 기억과 독립성을 서서히 잃어가는 젊은 여성의 감상적이지 않은 모습을 연기했다.[19][20]
엄지원이 연기한 똑똑하고 고학력의 미혼모에 대한 《무자식 상팔자》(2012)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당시 한국 케이블 드라마 중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고군분투하던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 JTBC를 방송계의 진정한 강자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21] 김수현은 회당 1억원으로 한국 텔레비전에서 가장 높은 출연료를 받는 작가로 확인되었다.
2. 4. 논란과 비판
김수현은 작품을 통해 항상 '화제'와 '비판'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가족과 애정이라는 대중적인 소재를 빠르고 거침없는 대사에 담아 경쾌하게 전달함으로써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 거창한 주제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소재를 찾아내고, 웃음과 재치를 섞어 섬세하고 감각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시청자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다는 평가도 있다.[2]하지만 김수현의 작품은 때때로 과도한 설정이나 비속어 사용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1992년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에서는 가장인 이순재가 딸의 광고모델 활동을 문제 삼아 밥상을 뒤엎고 가족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이 문제가 되었다.[1] 1994년 SBS 드라마 《작별》에서는 등장인물들이 "튼튼한 걸로 보내달라니까 소독저 같은걸 보냈어.", "육갑 찍고 앉았네." 등의 비속어를 사용하는 장면이 문제가 되었다. 1996년 KBS 주말연속극 《목욕탕집 남자들》에서는 아내(양희경)가 남편(송승환)에게 골프채를 휘두르는 장면, 장인 장모가 사위에게 "산돼지하고 사는 것 같다고 말해!"라고 하는 대사 등이 문제가 되었다. 방송가에서는 이러한 자극적인 표현들이 시청률을 의식한 작가의 의도적인 행동이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김수현은 이른바 '김수현 사단'이라 불리는 배우들을 반복적으로 출연시키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윤여정, 이순재, 강부자, 나문희 등이 대표적인 김수현 사단 배우들이다. 이에 대해 '그 얼굴이 그 얼굴'이라는 비판과 함께 식상하다는 지적도 있다.
1994년에는 SBS 드라마 《작별》의 연출자가 김수동 PD에서 곽영범 PD로 교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작가와 연출자 간의 갈등이 원인이었는데,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는 작가가 연출자 교체를 요구하는 것은 월권행위라고 비판하며 김수현 작가의 공개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김수현은 불같은 성격과 솔직한 태도로도 유명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배우들이 그녀가 묘사하는 캐릭터에 관여하는 것을 통제한다며 그녀를 "고질라"에 비유하기도 한다. 강렬하지만 의미있는 대사로 유명하며, 애드리브는 금지되고 배우들은 그녀의 대본이 지시하는 대로, 단어 하나하나, 그녀의 트레이드마크인 빠른 템포까지 정확하게 대사를 해야 한다.[4] 김수현은 그녀가 만족할 때까지 연기를 강요해서 화장실에서 우는 여배우들에 대한 소문을 들었다고 인정한다.[21]
2010년에는 영화 ''하녀''를 두고 임상수 감독과 공개적인 불화를 겪기도 했다. 김수현은 1960년 고전 1960년 영화의 리메이크 각본을 쓰도록 고용되었고, 처음에 이 영화에 참여하기로 했던 감독이 하차한 후, 김수현은 제작자들에게 임상수를 추천했다. 김수현이 각본을 완성한 후, 임상수는 자신의 도발적인 스타일에 맞게 수정을 가했고, 김수현은 "임상수 감독이 각본을 돌려줬을 때 충격을 받았다. 수정이 아니라 완전히 다시 썼더라."라고 불만을 표했다. 김수현은 임상수가 사과하고 각본을 함께 작업하기로 동의했지만, 그녀와 상의하지 않고 자신의 버전을 스튜디오에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분노한 김수현은 이 프로젝트에서 하차했고, 나중에 그녀의 블로그에 "내가 신뢰했던 사람에게 뒤통수를 맞았고, 더 이상 일을 계속할 마음이 없다."라고 글을 올렸다.[25][26]
트위터에 가입했을 당시 이미 60대였던 김수현은 할리우드 영화 ''아바타''를 비난했고,[27], 예능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를 비판했으며,[28], 현재 방영되는 TV 드라마의 절반 이상이 조잡하며 "마치 중학생이 쓴 것 같다"고 선언했다.[30] 섹스, 배신, 폭력 등 선정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일반 시청자들에게 점점 더 많이 제공되는 막장 드라마에 대한 그녀의 의견을 묻자, 그녀는 단호하게 답했다. "많은 제작자와 작가들이 시청률이나 시청자를 인기 이유로 지적하지만, 나는 그들이 매우 무책임하다고 생각한다. 업계 사람들은 시청자들을 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할 책임이 있지, 수준을 떨어뜨릴 책임은 없다."[14]
김수현 드라마가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평론가들은 김수현의 최근 작품들이 과거 작품의 단순한 패러디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제기하기 시작했다.[4] 그녀는 또한 과장된 대사와 지나치게 보수적인 한국 가족 묘사로 비판받아왔는데, 그녀가 쓰는 가족은 종종 조부모가 부모, 자녀와 함께 사는 전통적인 형태를 띤다. 그러나 그녀의 성실한 작업 방식은 업계에서 칭찬을 받고 있는데, 대본을 제때 제출하는 몇 안 되는 드라마 작가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30]
3. 작품 목록
김수현 작가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드라마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1972년 | MBC | 무지개 | |
1972년 | MBC | 새엄마 | |
1974년 | MBC | 강남가족 | |
1975년 | MBC | 안녕 | |
1975년 | MBC | 신부일기 | |
1976년 | MBC | 여고 동창생 | |
1977년 | MBC | 후회합니다 | |
1978년 | MBC | 청춘의 덫 | |
1978년 | MBC | 행복을 팝니다 | |
1979년 | MBC | 엄마, 아빠 좋아 | |
1979년~1980년 | TBC | 고독한 관계 | |
1980년 | TBC | 잃어버린 겨울 | |
1980년 | TBC → KBS 2TV | 아롱이 다롱이 | |
1981년 | MBC | 첫 손님[58] | |
1981년 | MBC | 안녕하세요 | |
1982년 | MBC | 어제, 그리고 내일[61] | |
1984년 | MBC | 사랑과 진실 1부 | |
1985년 | MBC | 사랑과 진실 2부 | |
1987년 | MBC | 사랑과 야망 | |
1988년 | MBC | 모래성 | |
1991년 | MBC | 사랑이 뭐길래 | |
1992년 | MBC | 두 여자 | |
1992년 | SBS | 어디로 가나[62][63] | |
1994년 | SBS | 작별 | |
1995년 | SBS | 인생 | |
1999년 | SBS | 청춘의 덫 | |
2000년 | SBS | 불꽃 | |
2003년 | SBS | 완전한 사랑 | |
2004년 | SBS | 홍소장의 가을 | |
2006년 | SBS | 사랑과 야망 | |
2007년 | SBS | 내 남자의 여자 | |
2008년 | KBS 2TV | 엄마가 뿔났다 | |
2010년 | SBS | 인생은 아름다워 | |
2011년 | SBS | 천일의 약속 | |
2012년 | TV조선 | 아버지가 미안하다 | |
2012년 | JTBC | 무자식 상팔자 | |
2013년 | SBS | 세번 결혼하는 여자 | |
2016년 | SBS | 그래, 그런거야 |
영화
- 1969년 《잊혀진 여인》
- 1970년 《필녀》
- 1971년 《죄 많은 여인》
- 1976년 《나는 고백한다》
- 1978년 《마지막 겨울》
- 1979년 《내가 버린 남자》
- 1982년 《욕망의 늪》
- 1985년 《에미》
- 2002년 《미워도 다시 한번 2002》
3. 1. 드라마
김수현 작가는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를 집필했다. 다음은 김수현 작가의 주요 드라마 작품 목록이다.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1969년 | MBC 표준FM | 저 눈밭에 사슴이 | 원작: 김수현 《그 해 겨울의 우화》 |
1970년 | MBC 표준FM | 약속은 없었지만 | |
1970년 | MBC 표준FM | 지금은 어디서 | |
1971년 | TBC | 사랑의 학교 | 원작: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 《사랑의 학교》 |
1971년 | TBC | 알뜰부인 덜렁부인 | |
1972년 | TBC | 상록수 | 원작: 심훈 《상록수》 |
1972년 | TBC | 대령집 아이들 | |
1972년 | MBC | 무지개 | |
1972년 | MBC | 새엄마 | |
1973년 | KBS | 심판 | |
1974년 | MBC | 강남가족 | |
1974년 | MBC | 수선화 | |
1975년 | MBC | 안녕 | |
1975년 | MBC | 신부일기 | |
1975년 | KBS | 소공자 | 원작: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 《소공자》 |
1975년 | MBC | 탄생 | 신춘특집 드라마[54] |
1976년 | MBC | 여고 동창생 | |
1976년 | TBC | 보통 여자 | |
1977년 | MBC | 당신 | |
1977년 | KBS | 말희[55] | |
1977년 | TBC | 불행한 여자의 행복 | 특집 드라마 |
1977년 | MBC | 후회합니다 | |
1978년 | MBC | 청춘의 덫 | |
1978년 | MBC | 행복을 팝니다 | |
1979년 | MBC | 사랑의 계절 | 수기단막극 |
1979년 | MBC | 엄마, 아빠 좋아 | |
1979년~1980년 | TBC | 고독한 관계 | |
1980년 | KBS | 입춘대길[56] | |
1980년 | TBC | 안개의 성 | |
1980년 | TBC | 잃어버린 겨울 | |
1980년 | TBC → KBS 2TV | 아롱이 다롱이 | |
1981년 | KBS 1TV | 옛날 나 어릴적에[57] | |
1981년 | MBC | 첫 손님[58] | |
1981년 | MBC | 안녕하세요 | |
1981년 | MBC | 사랑의 계절 - 사랑의 굴레 | 100회 특집 |
1981년 | MBC | 불타는 다리[59] | |
1981년 | MBC | 사랑합시다 | |
1981년 | MBC | 야상곡 | |
1982년 | MBC | 아버지[60] | |
1982년 | MBC | 어제, 그리고 내일[61] | |
1983년 | MBC | 다녀왔읍니다 | |
1984년 | KBS | 딸의 미소 | |
1984년 | MBC | 사랑과 진실 1부 | |
1985년 | MBC | 사랑과 진실 2부 | |
1987년 | MBC | 사랑과 야망 | |
1988년 | MBC | 모래성 | |
1990년 | MBC | 배반의 장미 | |
1991년 | MBC | 사랑이 뭐길래 | |
1992년 | MBC | 두 여자 | |
1992년 | SBS | 어디로 가나[62][63] | |
1993년 | KBS1 | 옛날 나 어릴적에[64] | |
1993년 | SBS | 산다는 것은 | |
1994년 | SBS | 작별 | |
1995년 | SBS | 인생 | |
1995년 | KBS 2TV | 목욕탕집 남자들 | |
1997년 | HBS/SBS | 사랑하니까 | |
1999년 | SBS | 청춘의 덫 | |
1999년 | SBS | 아들아 너는 아느냐[65] | |
2000년 | SBS | 불꽃 | |
2000년 | SBS | 은사시나무 | |
2002년 | KBS 2TV | 내사랑 누굴까 | |
2003년 | KBS 2TV | 혼수 | |
2003년 | SBS | 완전한 사랑 | |
2004년 | KBS 2TV | 부모님전상서 | |
2004년 | SBS | 홍소장의 가을 | |
2006년 | SBS | 사랑과 야망 | |
2007년 | SBS | 내 남자의 여자 | |
2008년 | KBS 2TV | 엄마가 뿔났다 | |
2010년 | SBS | 인생은 아름다워 | |
2011년 | SBS | 천일의 약속 | |
2012년 | TV조선 | 아버지가 미안하다 | |
2012년 | JTBC | 무자식 상팔자 | |
2013년 | SBS | 세번 결혼하는 여자 | |
2016년 | SBS | 그래, 그런거야 |
2007년 이후 주요 작품
- 내 남자의 여자 (2007): 남편(김상중)이 절친한 친구(김희애)와 불륜을 저지른 사실을 알게 된 아내(배종옥)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김수현은 불륜이라는 주제를 현실적으로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불륜녀에 대해 "두 여자 중 하나를 선택해서 승리라고 한다면, 그 드라마는 교훈적이고 진부해질 것이다. 두 여자는 내 마음의 50%씩 똑같이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며 인간적인 면모를 부여했다.[3][4] 2007년 한국 드라마 시청률 2위를 기록했으며, 김희애는 SBS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5][6]
- 엄마가 뿔났다 (2008): 세 아이와 남편, 시아버지까지 돌보며 수십 년을 주부로 살아온 중년 여성이 1년의 휴식을 갖고 가족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며 자신을 재발견하는 이야기를 그렸다.[8] 주연 배우 김혜자는 KBS 연기대상과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김수현은 "모든 어머니들에게 안식년을 주고 싶었다"고 집필 의도를 밝혔다.[10][11]
- 인생은 아름다워 (2010): 공개적으로 게이 커플을 다룬 최초의 지상파 드라마였다. 김수현은 동성애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솔직함으로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지만, "내 아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처럼" 이 문제에 접근했다고 밝혔다.[12][13]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13회 연장 방송되었다.[15][16][17]
- 천일의 약속 (2011):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탐구했으며, 수애는 기억과 독립성을 서서히 잃어가는 젊은 여성의 모습을 연기했다.[19][20]
- 무자식 상팔자 (2012): 엄지원이 연기한 똑똑하고 고학력의 미혼모를 다룬 드라마로, 당시 한국 케이블 드라마 중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21]
3. 2. 영화
- 1969년 《저 눈밭에 사슴이》 (원작: '''김수현''' 《그 해 겨울의 우화》)
- 1969년 《잊혀진 여인》
- 1970년 《미워도 다시 한 번 3편》
- 1970년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원작: 임희재; 공동 각본: 이희우)
- 1970년 《아빠와 함께 춤을》
- 1970년 《약속은 없었지만》 (원작: '''김수현'''; 각색: 나연숙, 조문진)
- 1970년 《필녀》
- 1971년 《미워도 다시 한 번 대완결편》 (공동 각본: 곽일로)
- 1971년 《죄 많은 여인》
- 1972년 《집을 나온 여자》 (원작, 각본: 이은성; 각색: '''김수현''')
- 1972년 《아낌없이 바치리》
- 1972년 《이 밤이여 영원히》
- 1976년 《나는 고백한다》
- 1976년 《보통 여자》
- 1976년 《내가 버린 여자》 (원작: 정소영; 공동 각본: 이문웅)
- 1978년 《마지막 겨울》
- 1979년 《내가 버린 남자》 (공동 각본: 이문웅)
- 1979년 《청춘의 덫》 (원작: '''김수현'''; 윤색: 문상훈)
- 1980년 《너는 내 운명》
- 1980년 《여자이기 때문에》 (원작: '''김수현''')
- 1982년 《욕망의 늪》
- 1982년 《버려진 청춘》
- 1985년 《에미》
- 2002년 《미워도 다시 한번 2002》
4.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수상 부문 | 작품 |
---|---|---|---|
1971년 | 제8회 청룡영화상 | 각본상 | 《필녀》 |
1973년 | 제1회 대한민국방송상 | 극본상 | 《새엄마》 |
1975년 | 제3회 저축추진중앙위주최 | 금나무상 | |
1975년 | 한국방송대상 | 최우수 작품상 | 《신부일기》 |
1980년 | 제16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 TV부문 극본상 | 《고독한 관계》, 《입춘대길》 |
1981년 | 제17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 TV부문 극본상 | 《옛날 나 어릴 적에》 |
1993년 | 제5회 방송작가상 | 《어디로 가나》 | |
2001년 | 제37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극본상, 대상 | 《은사시나무》 |
2001년 | 제37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극본상 | 《그 여자네 집》 |
2005년 | 제32회 한국방송대상 | 통합작가상[75] | 《부모님전상서》 |
2005년 | KBS 연기대상 | 작가상 | 《부모님전상서》 |
2005년 | 제18회 방송작가상 | 드라마 부문[76] | 《부모님전상서》 |
2008년 | 서울 드라마 페스티벌 | 한국 최고의 작가 | |
2010년 | 제5회 무지개 인권상 | 《인생은 아름다워》 | |
2010년 | 제6회 세상을 밝게 한 사람들 | 방송 부문 | 《인생은 아름다워》 |
2012년 | 제3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은관문화훈장 | 《무자식 상팔자》 |
참조
[1]
웹사이트
'Yonsama' to try his luck in China
http://www.hancinema[...]
2005-11-01
[2]
웹사이트
Book traces history of Korean TV dramas
https://www.koreatim[...]
2012-02-03
[3]
웹사이트
Mining new ground on an age-old topic
http://koreajoongang[...]
2007-07-04
[4]
웹사이트
TV Review: A drama-writing legend reaches her limit
http://koreajoongang[...]
2007-08-24
[5]
웹사이트
''My Man's Woman'' Empties Streets
http://english.chosu[...]
2007-06-07
[6]
웹사이트
Adultery, Evil Mothers-in-Law: Korean Soaps in 2007
http://english.chosu[...]
2007-12-24
[7]
웹사이트
Stealing words?
http://koreajoongang[...]
2007-06-27
[8]
웹사이트
3 New Weekend Dramas to Air
https://www.koreatim[...]
2008-01-29
[9]
웹사이트
''Mom's Dead Upset'' Viewer Ratings Exceeds 30%
http://english.kbs.c[...]
2008-04-14
[10]
웹사이트
TV Review: Runaway moms swap drudgery for liberty
http://koreajoongang[...]
2008-08-06
[11]
웹사이트
TV review: ''Mommy's Angry'' stokes fires of class wars
http://koreajoongang[...]
2008-02-27
[12]
웹사이트
Actor Song Chang-ui finds empathy in homosexual role
https://www.koreatim[...]
2010-08-12
[13]
웹사이트
INTERVIEW: Actor Song Chang-eui - Part 1
http://www.asiae.co.[...]
2010-04-22
[14]
웹사이트
Writer pushing buttons on TV, again
http://koreajoongang[...]
2010-05-20
[15]
웹사이트
Drama reveals changing attitudes about homosexuality
http://koreajoongang[...]
2010-09-13
[16]
웹사이트
Ban on gay drama in prison creates stir
https://www.koreatim[...]
2010-10-07
[17]
웹사이트
2010 10Asia's Awards: Writer & Actor of the Year
http://www.asiae.co.[...]
2011-01-03
[18]
웹사이트
New shows bring gay love to prime time
http://koreajoongang[...]
2010-03-18
[19]
웹사이트
Kim Rae-won returns in melodramatic sob fest
http://nwww.koreaher[...]
2011-10-11
[20]
웹사이트
PREVIEW: SBS TV series ''Thousand Days Promise''
http://www.tenasia.c[...]
2011-10-17
[21]
웹사이트
Screenwriter breaks taboos with JTBC drama
http://koreajoongang[...]
2012-10-22
[22]
웹사이트
''Childless Comfort'' looks like TV game-changer
https://www.koreatim[...]
2013-02-25
[23]
웹사이트
Kim Soo-hyun's Power
http://english.donga[...]
2004-01-05
[24]
웹사이트
Drama ''Snow Flower'' to Be Shot in September
http://english.kbs.c[...]
2006-06-16
[25]
웹사이트
Jeon Do-yeon Cast in The Housemaid
https://www.koreatim[...]
2009-11-02
[26]
웹사이트
Year of the thriller for Korean movies
http://koreajoongang[...]
2010-01-13
[27]
웹사이트
Seeing Avatar
https://www.koreatim[...]
2010-02-12
[28]
웹사이트
MBC singer survival program stirs dispute
http://nwww.koreaher[...]
2011-03-21
[29]
웹사이트
Producers of Popular TV Series ''Mom's Dead Upset'' in Dilemma
http://english.kbs.c[...]
2008-07-16
[30]
웹사이트
Writing dramas as works of art, naturally
http://koreajoongang[...]
2008-10-20
[31]
웹사이트
Psy to receive cultural merit honor from government
http://english.yonha[...]
2012-11-06
[32]
웹사이트
Psy, director Kim get order of cultural merit
http://nwww.koreaher[...]
2012-11-06
[33]
웹사이트
South Korean Culture Ministry To Honor Psy
http://www.hollywood[...]
2012-11-07
[34]
웹사이트
We Depicted a Family That Stayed Together Through All the Ups and Downs
http://english.donga[...]
2005-06-06
[35]
웹사이트
"[대중문화 빅리더 30人] 더 굳건해진 ‘CJ 제국’ 아성…유재석ㆍ강호동 예능 양분"
https://news.nate.co[...]
2008-12-29
[36]
웹사이트
"[대중문화 빅리더 30人] 더 굳건해진 ‘CJ 제국’ 아성…유재석ㆍ강호동 예능 양분"
https://entertain.na[...]
2023-08-08
[37]
웹사이트
‘K-컬처’황금기…그 중심엔 싸이
https://n.news.naver[...]
2023-08-12
[38]
웹사이트
송혜교·송중기·BTS·아이유…시청자 선정 'KBS를 빛낸 50인' 발표
https://v.daum.net/v[...]
2023-08-08
[39]
뉴스
‘연중’ 고두심→최불암, ‘50주년’ KBS를 빛낸 50인 ★ 재조명
https://n.news.naver[...]
2023-03-09
[40]
Youtube
KBS 뉴스9: KBS를 빛낸 50인
bYLsHk4HY9U
[41]
웹사이트
김수현
https://web.archive.[...]
2022-09-20
[42]
웹사이트
김수현
https://search.daum.[...]
2022-09-20
[43]
웹사이트
김수현
https://terms.naver.[...]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ブックス
2014
[44]
Youtube
Happy Time, Masterpiece Theater #08, 명작극장 20070708
https://www.youtube.[...]
MBCentertainment
[45]
웹사이트
김수현
https://search.naver[...]
2022-09-20
[46]
웹사이트
キム・スヒョン
https://www.allcinem[...]
2022-09-21
[47]
웹사이트
사랑이 뭐길래
https://search.naver[...]
2022-09-21
[48]
웹사이트
필녀
https://movie.naver.[...]
2022-09-21
[49]
웹사이트
Profile
http://www.kshdrama.[...]
2022-09-21
[50]
웹사이트
고독한 관계
https://movie.naver.[...]
2022-09-21
[51]
웹사이트
입춘대길
https://movie.naver.[...]
2022-09-21
[52]
웹사이트
옛날 나 어릴적에
https://movie.naver.[...]
2022-09-21
[53]
웹사이트
2001년 제37회 백상예술대상
https://movie.naver.[...]
2022-09-21
[54]
뉴스
새벽에 찾아온 임산부 MBC '신춘특집드라마'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12-30
[55]
뉴스
TV주평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7-05-03
[56]
뉴스
구정특집 KBS '입춘대길' 두 민방선 '춘향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0-12-22
[57]
뉴스
옛날 나 어릴 적에 KBS 제1TV 2일 밤 7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0-12-30
[58]
뉴스
X마스 연말연시 MBC 특집프로 호화로운 '안방컬러극장'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0-12-22
[59]
뉴스
6.25동란 31주 특집 대작드라마 제작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1-06-22
[60]
뉴스
특집극 '아버지' 1일밤 9시 MBC TV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2-01-01
[61]
뉴스
신정연휴 볼만한 TV프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12-30
[62]
뉴스
참다운 효의 의미 조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11-08
[63]
뉴스
모처럼 보는 탈 외설 뭉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11-17
[64]
뉴스
전화 한통 없는 자식들 섭섭 '옛날 나 어릴 적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3-01-22
[65]
뉴스
당신의 아이가 뇌사상태라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11-13
[66]
뉴스
탤런트 연극무대 출연 러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10-14
[67]
뉴스
죽음 앞둔 딸과 엄마의 이야기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8-05-12
[68]
뉴스
김수현 저 '미안해 미안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03-22
[69]
뉴스
김수현 소설 '상처' 방송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8-02-07
[70]
뉴스
M-TV 10월중에 멜러드라마 집중 방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10-13
[71]
뉴스
김수현 소설 '유혹' 아침드라마 방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9-30
[72]
뉴스
방송대상 겨냥 각국 프로 선정 한창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4-09-23
[73]
뉴스
신부일기의 작가 김수현씨 저축정신 계몽 '금나무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12-20
[74]
뉴스
작가 고영훈, 김수현씨 5회 방송작가상 받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3-03-25
[75]
뉴스
김정은, 한국방송대상 시상식 돌연 불참
https://entertain.na[...]
노컷뉴스
2005-09-03
[76]
뉴스
'부모님 전상서' 김수현, 한국방송작가상 수상
http://entertain.nav[...]
스타뉴스
2005-12-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진송의 아니근데] “남이 되고 나서야 진정한 우정이 생겼다”···이혼에서 ‘불행의 필터’를 벗기자
명대사 회자되는 드라마 대본집…“독서의 대상”이 되다
Youn Yuh-jung has been breaking boundaries her entire care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